창세기 6장 묵상

창세기 6장 개요

창세기 6장부터 9장까지는 홍수 심판을 다룹니다. 5장에서 소개된 족보를 통해 수많은 인류가 지구에 거하게 된 것을 봅니다. 아담에게 주신 땅에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는 복이 성취된 것입니다. 문제는 선의 충만이 아니라 악의 충만이었다는 것입니다. 결국 하나님은 인류의 번성을 슬퍼하시고 홍수로 멸망 시키기로 하십니다.

1-7절 홍수 이전의 세상
8-22절 노아에게 홍수 심판을 알리고 방주를 짓도록 명령함

1-7절 홍수 이전의 세상

홍수 이전의 세상은 어떤 세상이었을까요? 왜 하나님은 홍수로 세상을 심판 해야만 했을까요? 창세기 6장에서 그 이유를 밝힙니다. 창세기 6장은 창세기 6장이라는 거대한 범주 안에 들어가 있습니다.

사람이 번성할 때

수많은 사람들이 태어나고 번성했습니다다. 번성과 충만은 아담을 만들 때 이미 사람들에게 주어진 소명이자 축복이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계획하신 번성은 선의 번성, 진리의 확장이었지 악의 확장이 아니었습니다. 세상은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것과 정반대로 움직이고 있음을 정확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번성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모이면 모일수록 악을 행합니다. 번성은 분명 하나님의 축복이지만 죄인들은 하나님의 축복을 죄를 짓는 데 사용합니다.

하나님의 아들들 사람의 딸들

기묘한 구절입니다. 하나님의 아들들은 성경 전체에서 하나님의 백성들을 상징합니다. 사람의 딸들은 이 땅의 사람들을 말한다. 아들은 기업을 무를 자며, 딸들은 순결한 자들을 말한다. 신화적 요소가 다분한 이 구절의 핵심은 ‘섞임’에 있습니다. 창세기 1장 창조에서 질서가 잡아가기 위해서 분리되었고, 자신의 자리에서 구분되어 소명을 감당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다시 섞입니다. 죄는 자신의 자리를 떠나 타인의 자리를 침범합니다.

하나님의 아들과 사람의 딸들이란 말 속에는 교묘한 뒤틀림 존재합니다. 하나님의 아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상속한 자들로 거룩한 자들을 말합니다. ‘딸’은 순결한 자들을 말합니다. 그래서 종종 예루사람의 딸, 시온의 딸이란 표현을 표현 거룩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악함으로 그들의 딸들 또한 순결하지 못한 자들이 되었습니다. 거룩하지 못한 하나님의 아들과 순결하지 못한 사람의 딸들이 만난 것입니다. 이것이야 말로 하나님의 나라를 향한 도전이자 반역이 아닐까요?

아름다움을 보고

아름다움은 창세기 1장에서 피조물을 보시고 ‘보시기에 좋았더라’는 뜻의 ‘토브’입니다.(참 창 1장 강해) 도대체 사람의 아름다움이란 뭘 말하는 것일까요? 문제는 바라봄이 창세기 3장에서 하와가 선악과를 보는 것과 불길하게 닮아 있다는 점이입니다. 이런 점에서 6장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아들들은 하나님의 소유된 자들이지만 타락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그들은 자신의 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땅의 사람들의 딸들을 탐하여 내려 갑니다. 거룩해야할 이들이 자신의 자리를 떠나 세상의 쾌락을 추구할 때 심판은 점점 가까워 옵니다.

그들이 육신이 됨이라

하나님의 영이 함께 했지만 다시는 함께 있지 않을 것임을 천명하십니다. 육체는 히브리어 ‘바샤’로로 2장에서 살 중의 살. 과 한 몸이란 단어에 사용된 것입니다. 이 단어는 인간의 육체 자체를 뜻하기 보다는 ‘하나가 됨’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인다. 즉 분리 되어야 하는데 섞여 하나가 되고 만 것입니다.

백이십 년

성경에서 12는 완전수이며, 이스라엘 전체 백성을 일컫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이 조성되기 전 120년은 뭘 말하는 것일까요? 학자들 간의 적지 않은 논쟁이 있기는 하지만 아무도 모릅니다. 어쩌면 앞의 육체와 120년은 동일한 의미일 수 있습니다. 즉 인간의 제한된 삶, 죽음을 기다리며 살아가는 불쌍한 인생 말입니다. 성경 전체의 의미에서 12는 충만함을 뜻하기 때문에 창세기 6장에서 백이십 년은 그들의 완전한 끝, 그들의 악이 충만할 때까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네피림

네피림은 이후 자주 등장하게 됩니다. 정확히는 민 13:33에 한 번 등장합니다. 이곳에서 네피림의 후손 아낙자손이 소개된다. 결국 네피림 거대한 전투적 용사들로 보는 것입니다. 헤라클래스와 같이. 전쟁을 위해 길러진 용병 또는 살인병기들인 셈입니다. 페피림은 ‘넘어 뜨리는 자’ ‘끝장 내는 자’ 등의 의미로 의역하여 ‘파괴자’ ‘용병’ 등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민수기 13장 33절 거기서 네피림 후손인 아낙 자손의 거인들을 보았나니 우리는 스스로 보기에도 메뚜기 같으니 그들이 보기에도 그와 같았을 것이니라

네피림은 이후 용사들과 이어집니다. 성경 전체에서 네피림과 아낙자손은 거의 동일한 종속으로 취급이 되며, 악하고 강하고 전투적인 사람들을 말하게 됩니다. 그들은 선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욕망을 극대화 시켜 살아가는 살인 무기들입니다.

항상 악할 뿐

하나님은 사람들의 깊은 내면을 보셨습니다. 그들의 생각은 늘 악했습니다. 마음속의 생각들은 악하여 늘 죄 지을 생각만을 합니다. 아담의 타락 이후 죄가 사람들을 지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첫 사람이 가인입니다. 이후 사람들은 가인 처럼 죄의 욕망에 이끌려 살아가는 죄인들이 되었습니다.

한탄하사

한탄하다 히브리어 ‘나함’은 ‘깊이 고민하다’ ‘위로하다’ ‘(마음을) 되돌리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즉 ‘후회한다’는 뜻입니다. 참으로 기이한 표현입니다. 헬라철학에 영향을 받은 조직신학에 길들여진 개신교는 신이신 하나님이 어떻게 ‘변질’ ‘변화’할 수 있는가를 의아해 합니다. 신은 변하지 않고 감정적 존재가 아니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사람의 언어로 표현된 하나님의 마음입니다. 하나님의 마음을 담은. 죄인들을 보시고 슬퍼하는 하나님의 마음을 읽을 줄 알아야 합니다.

8-22절 노아에게 홍수 심판을 알리고 방주를 짓도록 명령함

노아는

8절을 직역하면

  • 노아는 찾았다 은혜를 여호와의 눈에 있는
  • But Noah found favor in the eyes of the LORD. (NIV)

히브리어와 영어는 동일한 의미입니다. 하지만 한글 번역은 이상하게 수동태형으로 노아가 여호와의 은혜를 입었다고 번역했습니다.

‘입었다’로 번역한 히브리어 ‘마짜’는 ‘찾다’ ‘가다’ ‘구하다’ ‘(일이) 일어나다’ ‘만나다’ ‘손을 잡다’는 뜻이다. 그런데 왜 수동태형으로 번역을 했는지… 1-7절에서 타락한 인류를 설명하고 8절은 그들과 전혀 다른 길을 걷는 노아를 설명하니 당연히 노아가 하나님의 은혜를 구했다 찾았다는 능동형으로 번역 해야 옳습니다. 즉 세상은 악한 길을 걸어가지만 오직 노아만은 하나님을 찾고 구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어찌 하나님이 노아를 발견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이것이 핵심입니다. 하나님은 선을 행하는 자들을 보십니다.

출애굽기 4:31 백성이 믿으며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찾으시고 그들의 고난을 살피셨다 함을 듣고 머리 숙여 경배하였더라
요한복음 4:23 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 때라 아버지께서는 자기에게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노아의 족보

다시 톨레도트가 등장합니다. 노아의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노아는 의인이며 완전한 자로 소개됩니다. 이 부분은 욥의 서두와 매우 비슷합니다. 노아는 독보적 존재입니다. 악한 세상 속에서 홀로 의롭게 살아가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하나님과 동행

동행이 다시 등장합니다. 에녹도 하나님과 동행했고, 노아도 하나님과 동행했습니다. 즉 하나님의 계명을 따라 살았다는 뜻입니다.

하나님이 노아에게 이르시되

놀랍다. 오직 노아에게만 말씀하신다. 반대로 말하면 어느 누구도 하나님을 찾지 않고 귀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을 찾고 구하면 만나 주실 것이다. 이것은 약속의 계명이다.

신명기 4:29 그러나 네가 거기서 네 하나님 여호와를 찾게 되리니 만일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그를 찾으면 만나리라

역대하 15:2 그가 나가서 아사를 맞아 이르되 아사와 및 유다와 베냐민의 무리들아 내 말을 들으라 너희가 여호와와 함께 하면 여호와께서 너희와 함께 하실지라 너희가 만일 그를 찾으면 그가 너희와 만나게 되시려니와 너희가 만일 그를 버리면 그도 너희를 버리시리라

마태복음 7:7 구하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주실 것이요 찾으라 그리하면 찾아낼 것이요 문을 두드리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열릴 것이니

너는 방주를 만들되

방주는 사각형이다. 배가 아니다. 고페르 나무는 정확히 모른다.

노아가 다 준행하였더라

노아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방주를 짓는다.

Views: 93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