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47장

창세기 47장 요약

창세기 47장은 야곱의 가족이 이집트에 정착하는 과정과 요셉의 통치 방식을 다룹니다. 요셉은 형제들과 아버지 야곱을 바로에게 소개하고, 가족이 고센 땅에 정착하도록 합니다. 야곱은 바로를 축복하며 만납니다. 이집트에 흉년이 심해지자 요셉은 백성들의 토지와 가축을 받아 곡식을 나눠주고, 결국 그들을 바로의 종으로 삼습니다. 이로 인해 바로의 권력이 강화됩니다. 야곱은 이집트에서 17년을 살며, 죽기 전에 가나안 땅에 묻어 달라고 요셉에게 유언합니다.

창세기 47장 구조 분석

  1. 요셉이 바로에게 가족을 소개함 (47:1-6)
  2. 야곱과 바로의 만남과 축복 (47:7-10)
  3. 야곱의 가족이 고센 땅에 정착함 (47:11-12)
  4. 요셉의 통치와 흉년 동안의 대책 (47:13-26)
  5. 야곱의 유언과 가나안 땅에 묻힐 요청 (47:27-31)

요셉이 바로에게 가족을 소개함 (창세기 47:1-6)

요셉은 형제들 중 다섯 명을 데리고 바로 앞에 나아가 그들의 도착을 알립니다. 형제들은 바로에게 자신들이 목자임을 밝히며, 고센 땅에서 정착할 수 있도록 허락해달라고 요청합니다. 바로는 그들의 요청을 흔쾌히 받아들이며, 고센 땅을 그들의 거처로 허락합니다. 또한, 그들 중 능력 있는 자를 바로의 가축을 돌볼 관리인으로 삼으라고 지시합니다.

이 장면은 요셉의 가족이 이집트의 바로에게 인정을 받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고센 땅은 목축업에 이상적인 지역이었으며, 이스라엘 자손들이 번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바로가 이들을 환영하고 좋은 땅을 제공한 것은 요셉의 신뢰와 영향력 덕분입니다. 이 만남은 하나님의 인도하심 속에서 요셉의 가족이 안전하게 정착하게 되는 전환점을 의미합니다.

야곱과 바로의 만남과 축복 (창세기 47:7-10)

요셉은 아버지 야곱을 바로에게 데려갑니다. 이 만남에서 야곱은 바로를 축복하며 인사를 나눕니다. 바로가 야곱에게 그의 나이를 물어보자, 야곱은 자신의 생애가 130년이나 되었지만, 그 세월이 고난과 험악한 길이었다고 답합니다. 그런 뒤, 야곱은 다시 한 번 바로를 축복하고 떠납니다.

이 장면은 야곱이 세상적으로는 낯선 이방 왕에게도 하나님의 축복을 전달하는 장면으로, 야곱이 하나님과 맺은 언약의 상징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나님의 백성이 세상 권력 앞에서도 영적 권위를 잃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야곱의 축복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이집트 땅에서도 함께하고 있음을 상징합니다.

야곱의 가족이 고센 땅에 정착함 (창세기 47:11-12)

요셉은 아버지 야곱과 그의 형제들을 고센 땅에 정착시키고, 그들에게 이집트에서 가장 좋은 땅을 제공하여 거주하게 합니다. 또한, 요셉은 기근 속에서도 아버지와 형제들, 그리고 그들의 모든 가족에게 식량을 공급합니다.

이 장면은 하나님의 인도하심 속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번성을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고센 땅에서의 정착은 단순한 생존이 아니라, 앞으로 이스라엘 자손들이 크게 번성할 수 있는 발판이 됩니다. 요셉은 하나님께서 주신 지혜로 가족을 보호하며 기근의 어려움 속에서도 풍요롭게 돌봅니다.

요셉의 통치와 흉년 동안의 대책 (창세기 47:13-26)

이집트와 주변 나라들은 기근의 심화로 인해 극심한 고통을 겪게 됩니다. 백성들은 곡식을 구하기 위해 자신들의 돈, 가축, 토지, 심지어는 자신들까지 바로에게 넘기게 됩니다. 요셉은 이들을 바로의 소유로 삼고, 대신 백성들에게 씨앗을 나누어 줍니다. 그는 앞으로 수확의 다섯 분의 일(20%)을 바로에게 바치고, 나머지는 백성들이 가져가도록 합니다.

이 과정에서 백성들은 오히려 요셉에게 감사하며, 생명을 구해준 은혜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표현합니다. 요셉의 통치는 단순한 관리가 아니라, 백성을 구원하고 돌보는 지혜로운 통치를 상징합니다. 이 장면은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이 주신 지혜로 백성을 보호하는 요셉의 모습을 통해 하나님의 섭리와 구원의 계획을 엿보게 합니다.

야곱의 유언과 가나안 땅에 묻힐 요청 (창세기 47:27-31)

이집트에서 번성하던 야곱의 가족은 기근의 어려움을 이겨내며 큰 민족으로 성장합니다. 시간이 흘러 야곱의 나이가 많아져 죽음을 준비할 때가 되자, 그는 아들 요셉을 불러 한 가지 유언을 남깁니다. 야곱은 자신이 죽으면 가나안 땅의 조상들이 묻힌 곳에 자신을 함께 묻어달라고 간청합니다. 요셉은 아버지의 요청을 받아들여, 가나안 땅에 묻히도록 맹세합니다. 야곱은 그 자리에서 하나님께 경배하며 이 마지막 유언을 마칩니다.

야곱의 요청은 가나안 땅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하는 신앙의 고백입니다. 비록 이집트에서 번성하고 있지만, 야곱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가나안 땅이 이스라엘의 본향임을 잊지 않았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백성에게 주어진 약속이 영원히 변치 않는 것임을 상징합니다. 야곱의 마지막 유언은 믿음의 유산으로, 후손들에게 하나님의 약속을 기억하게 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남깁니다.

이 장은 요셉의 지혜로운 통치와 야곱의 가족의 번성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섭리가 이집트에서도 계속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야곱의 만남과 유언은 하나님의 약속과 신실하심을 상기시키며, 이스라엘 민족이 결국 가나안 땅으로 돌아가게 될 것을 암시합니다. 또한, 고난의 시기 속에서도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풍성한 구원과 회복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Views: 2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