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16장 개요
마태복음 16장 구조
- 1-4절 시대의 표적
- 5-12절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의 누룩
- 13-20절 베드로의 고백
- 21-28절 죽음과 부활을 첫 번째 고지하시다.
마태복음 16장 묵상
1-4절 시대의 표적
바리새인과 사두개인(1절)
신약 배경사를 조금만 안다면 이 표현이 얼마나 놀라운지 모를 겁니다. 바리새인들은 평신도 개혁주주의자들이라면, 사두개인들은 최고의 종교지도자들이며 부활을 믿지 않는 세속주의자들입니다. 둘은 친구인천하지만 서로 원수이며, 항상 서로를 향해 삿대질하는 두 세력입니다. 그런데 놀랍게 원수들이 오직 예수님을 향한 비판에는 힘을 합하고 있습니다.
하늘로 오는 표적(1절)
하늘로 오는 표적은 엘리야가 갈멜산에서 불을 내린 것과 같은 엄청난 이적을 보이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자신들이 믿어 주겠다는 일종의 거만한 도발입니다. 그들의 생각에 예수님은 절대 그렇게 할 수 없다고 생각한 것이 분명합니다.
시대의 표적(3절)
하늘을 보고 날씨를 예측할 줄 알면서도 이 시대가 나타내는 표적을 읽지 못하는 것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표적을 구하는 것을 잘못이 아닙니다. 하지만 분명히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것은 악입니다. 주님은 그들에게 ‘요나의 표적'(4절) 밖에 보여 줄게 없다고 떠나가십니다.
요나의 표적은 요나가 물고기 뱃속에서 삼일삼야를 있었지만 죽지 않고 다시 살아난 것으로 주님의 죽음과 부활을 말씀하는 것입니다.
5-12절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의 누룩
떡 가져가기를 잊었더니(5절)
예수님께서 칠병이어의 기적을 행하시고 ‘마가단 지경'(15:39)으로 건너 갑니다. 사람이 음식 없이 살 수 없기에 그들은 급하게 떠나오면서 떡을 가져오지 못한 것을 깨달았던 모양입니다.
그들이 걱정을 하자 주님은 칠병이어 사건을 언급하시면서 떡이 없음에 대한 것은 걱정할 일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의 누룩(6절)
바리새인의 누룩은 외식을 말하며, 사두개인의 누룩은 세속적 탐욕을 말합니다. 바리새인은 겉으로는 경건한척 하지만 속으로 명예와 돈을 추구했습니다. 하지만 사두개인들은 헤롯당으로 불릴만큼 대놓고 권력을 탐하고 돈을 탐하는 자들이었습니다. 겉은 다르나 둘은 똑같은 자들이었습니다.
13-20절 베드로의 고백
빌립보 가이사랴 지방(13졸)
디베라 가이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분봉와 헤롯 빌립이 기존의 성읍을 확장하고 새로 건설하다시피한 지방입니다. 우상이 많다고 전해지지만 당시는 대부분의 지역들이 우상을 섬기고 있었습니다. 로마의 황제 가이사를 ‘주(퀴리오스)’로 부른다는 사실에 주의할 필요가 없습니다.
인자를 누구라 하느냐?(13절)
예수님은 항상 자신을 ‘인자’로 소개합니다. 인자는 말 그대로 사람의 아들이란 뜻이지만 구약에서 전래된 의미는 하나님의 아들이며, 메시아로서의 인자를 전제하는 표현입니다.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15절)
사람들은 저마다의 생각과 의견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누군가의 고백이 아니라 바로 나의 고백입니다. 주님은 제자들에게 ‘너희는’이라 물었습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의 질문에 곧바로 이렇게 대답합니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16절)
주는 그리스도시요, 그리스도는 히브리어 메시아를 헬라어로 표현한 것입니다. 또한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여기서 “그리스도 = 하나님의 아들”이란 공식이 성립이 됩니다.
21-28절 죽음과 부활을 첫 번째 고지하시다.
Views: 42